여불위의 마인드 기화가거(奇貨可居)

by 조량 posted Aug 12,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기화가거


 여불위는 한나라 상인으로 조나라의 태자 20명이 있는대도 불과하고 훗날 진시황의 아버지가 되는 영자초를 알아보고

기화가거라 말하였다. 영자초는 그시절 볼모로 진나라 어느 태자보다 보잘 것 없는 왕자였으나...



 그는 전국시대에 수천명의 식객을 머물 수 잇는 여곽을 짓고, 무료로 숙식을 제공하였다. 그가 여기서 얻어 낸 것들은 바로

"정보" 였다. 상인으로써의 나라를 사고 팔 수 있는 대상인이 될 수 있었던 밑바탕은 바로 변화하는 시대의 중심에 설 수 있는

것 즉 정보시장을 창조하여 그것을 자신이 직접 사용하였던 것이다.


 구한말 나라가 망한 이유는 바로 난 이 " 정보"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정보는 때론 과학기술이며, 문화가 될 수 있다.


태강은 한줌의 계곡물도 다 받아들일 수 있어서 크게 되었으며, 태산은 작은 바람에 날아온 티끌을 받아들였기에 태산이 되었다.


 아무리 사소한 것들이라 할지라도 그것을 다 받아들이고, 이해한다면 내공이 쌓이는 것이다.


 이는 개방과 정보라는 두가지 마인드를 생각해 볼 수 없다. 단절과 소통화지 않은 사람은 발전할 수 없으며 그 정보를 가공하지 


않는다면 쓰레기에 불과할 뿐이다. 또한 그것을 후기로 남기지 아니하면 한 줌의 재도 될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