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운하가 정작 꼭 필요한 것인가에 대한 생각!

by 조용덕 posted May 20, 200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대운하는 분명 환경을 파괴한다!


역사적으로 볼때 한국의 운하는 원래 있었다. 운하라는 개염이 무엇인가? 강을따라 물품을 운반하는 기능이 아닌가?

그럼 과연 언제부터 이런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엿을가? 우리는 분명 이땅에 강을 이용한 문화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현재 이런 강의 운반로가 왜 다시금 중요시 하는 이유를 살펴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1. 필자는 지난 3차에 이르는 전국일주와 수다한 여행을 통해 우리 땅을 많이 봐왔었다. 절대 심심치 않는 여행이었으며 늘 문제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 있다.

그중에 하나가 바로 "강" 이다. 강이란 엄청난 기회를 가지고 우리는 제대로 활용을 하지도 않고 그냥 흘려 내보기만 하기 일 쑤였다. 조선시대까지만해도 엄청난 물자가 서울로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상운송로가 필요했으며 고려시대 나주의 기능은 엄청 낫다. 또한 해상왕 장보고 역시 중국 및 일본, 베트남을 아우르는 엄청난 해상장악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후 삼국부터 아니 그 전부터 해상을 장악하는 것이 전쟁의 가장 첫번째로 해야하는 것들이었다. 물자를 운반하는 교통로가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왜 이부문을 다시 언급할까? 우리나라는 최고의 중구과 기술력의 나라 일본의 중간나라다. 우리는 나라는 약한 나라이며 그 교통로의 중심지에 우리나라가 있다.

우린 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나라가 될 수 있다. 싱가폴에게 금융허브를 내주었다. 왜 내주었겠는가? 싱가폴 주민들은 모두 잘 산다. 우리는 그것을 본받을 필요가 잇는데 내 생각엔 의식자체를 바꾸지 않는다면 힘들 것으로 생각한다.

이건희 삼성 전 회장은 말했었다. 가족 빼고 다 바꾸라고... 난 내 이름 빼고 다 바꿔야 한다고 본다. 일단 나와 언급하면 그것의 정체성이 흔들리기 때문에 잠시 배척해 둔다.


여행을 하며 한국을 문제점을 찾아보지 않고서는 나와 같은 의견이 절대 나올 수 없을 것이다.
보아라! 보아라! 보고 말하자! 우선 가까운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 금강? 한강? 어디서 부터 시작할까? 동강? 강이란 강은 모두 다 봐왔던 것 같다.

폐수의 집결장소가 강인가? 남부의 강은 그야말로 악취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또한 농업용수와 가축의 배설물로 인한 정화되지 않은 엄청난 쓰래기를 통해 썩고 있다. 당신은 아는가? 지나가다 포크레인으로 그냥 강을 떠 보아보면 아마 우리는 실망의 눈물을 흘릴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엄청난 침전물로 인해 왜 물고기가 없는지 알 것이다.

버려야 할 것은 분명 알아야 한다. 자! 가까운 강으로 가봐라!!! 보지 않고서 이글을 읽지도 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