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0
어제:
0
전체:
0
조회 수 10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1.지식정보사회의 개념

☑ 지식정보사회란 정보가 인류 문화에 영향을 끼쳐서 크게 변화 시키는 사회로서 그 말의 어원은  기존의 학문에 대한 학식인 지식, 그리고 자료를 가공하고 남에게 재공해 줄 수 있는 정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두개념을 사용하여 보다 윤택한 삶을 살아가는 사회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기존의 사회는 생산을 위한 농업사회와 대량생산을 위한 산업사회였다면 지식정보화 사회는 아는것이 힘이고, 정보를 많이 확보하고 있는가? 또 얼마나 인류에게 편의를 가져다 줄 수 있는가? 등 단순이 생산을 위한 목적이 아니라 인류에게 보다 빠르고 편리한 목적을 제공하여 보다 편리하고 질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사회라고 말할 수 있다.
☑ 지식의 지식정보화'와  '정보의 화'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에 관한 개념이다.
이 개념은 지식화와 정보화의 사회적 상관관계를 유기적으로 파악하여 '지식사회론'의 한계와 '정보사회론'의 기술 결정론적 편향을 극복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다. 따라서 공업을 주체로 벗어나  한 공업사회에서 정보 산업을 주체로 하며 다양한 정보의 생산과 정보를 중심으로 전달하는 사회이다.

2. 21세기 지식정보 사회적 입장의 현대사회

오늘날 인류는 지식정보사회에 살고 있다. 지식정보사회는 바로 정보통신기술의 등장에서 비롯되었다. 컴퓨터 및 원격통신기술의 결합으로 인한 이러한 정보통신 기술은 기술적 영역 외에 경제, 정치, 교육, 문화 등 사회 제반 영역에 근본적인 변화를 만들어 냈다.

지식정보사회는 인간의 지적 능력을 어느 때보다 크게 신장하였다는 점에서 지식정보사회라고 하지만, 또한 기계 기술에 의한 생산을 중심으로 발전했던 근대 산업 사회와 구별되는 탈산업사회 혹은 후기 산업사회라고도 한다. 아무튼 이러한 지식정보 사회는 18세기 말 제 1차 산업혁명이후 약 200여 년 동안 존속하여 온 산업사회와는 성격을 달리하는 사회인 것이다. 지식정보사회는 기술혁신을 자극하고 촉진하면서 계속 변모하고 있으며, 그러한 변화과정에서 사회의 구조와 조직원리 및 삶의 세계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기술적 의미를 넘어 인간의 의식구조와 행동양식 조직과 사회의 운영원리와 규범의 변화를 의미하게 되었다

3. 현대사회의 개념

  현대사회의 개념이라는 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 사회를 말한다. 이미 지나가버린 과거 사회가 아닌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의 사회,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사회를 말한다.
역사적 관점에서 우리나라를 본다면 우리나라는 고대 삼국시대부터 시작해 통일신라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 그리고 일제시대를 지나 6.25전쟁을 지난 사회를 근대 사회라고 본다면 현대사회는 근대사회의 시작과 함께 포함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근대사회의 시작인 1950년 이후 1997년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위기를맞고 그 이후를 우리는 바로 진정한 현대사회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현대사회는 근대사회를 포함하고 현재까지가 아닌 현재 변화하고 있는 사회를 말합니다.
현대사회는 6.25이후 남한에는 민주주의의 자본주의사상이 사회적 사상으로 자유와 평화를 바탕으로 하는 자유민주주의 사회이다.


4. 현대사회의 특징

☑ 현대사회는 자유민주주의 바탕으로 개인의 권리가 중요시 하는 사회이며, 법을 중심으로 사회를 형성하고 조직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우리는 살아가고 있지만 분명히 알아두어야 할것이 하나 있습니다. 이런 자유주의이며 민주주의는 본래 우리나라에서 생성된 게 아니라 유럽의 외래에서 들어온 사상으로써 기존의 우리문화의 역사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사상부터 우리는 외국의 사상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현대사회는 기존의 시대에서 보다 더욱 우수한 교육을 받고 있고 기존의 세대와는 달리 많은 사회적 문제를 직면하고 있는데 그 어느 시대보다 특징이 있다고 봅니다.

☑ 현대사회는 글로벌화 세계화하며 그 사회의 분야가 전 세계적으로 커져가고 전세계가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세계공용어인 영어 그리고 화폐도 달러를 통하는 세계이며, 단지 우리나라에서만이 아닌 수많은 민족과 사상을 고려하고 세계 여러 기구도 조직되어 있으며 세계는 한가족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입니다.

5. 현대사회의 문제점

굳이 문제점을 뽑자면 1000가지도 넘겠지만 여기서는 세가지만 논하겠습니다.

  현대사회는 빠른 변화의 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2차 산업혁명 이후 기계의 도입과 정보화 혁명 이후 우리는 전 세계가 네트워크화 되는 사회에 살고 있는데 대한민국의 하나의 민족이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 여러 민족을 상대로 우리는 함께 살고 있는 것입니다.

1. 전통사회와의 문제로는 기존의 유교사상이 붕괴되어가고 있고 새로운 세대들은 서양의 문화에 익숙해져서 대한민국 본래의 문화가 많이 활성화가 안되어 가고 있습니다.

2. 우리는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차이, 그리고 기독교 불교등 종교의 차이, 수많은 나라와의 언어적 차이, 그리고 사회주의와 민주주의등 많은 문제 함께 어울려 있습니다.  

예) 종교적 문제와 문화적인 차이는 전쟁을 일으킬 수 있는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미국의 LA와 오스트레일리아의 흑인과 백인과의 싸움, 그리고 중동의 아랍, 이슬람 문화의 분쟁. 기타 현대사회는 세계화 되어가고 있지만 민족적, 사상적으로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3. 정보화의 발전으로 인해 소량생산으로 인한 생산이 적어 지게 되고 기계의 도입으로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지 않게 되는 현대사회는 기존의 사회와 새로운 사회의 변화 가운데 가중 어렵고 복잡한 사회를 함께 동행하고 있는 사회에 우리는 놓여져 있습니다.

문제점을 적으면서 전 세계가 한 네트워크화 되어가고 있는 가운데 서로의 국가만을 생각하고 여러가지 문제를 해결해야만 하는데 세력의 강력한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아 서양쪽으로 사회가 기울어져 가고 있다는게 가슴이 안타깝습니다.

?

Economic

경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바람같은 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Zholiang 2015.09.30 215
공지 논리 주장에 대한 글 Zholiang 2009.10.04 656
784 공무원과 교직원에 대한 고찰 조용덕 2008.05.16 140
783 시장경제를 지향하지만 난 계회경제를 지향한다. 조용덕 2008.05.20 116
782 독자적인 길 조용덕 2008.05.20 97
781 원리를 고집하는 이유와 새길을 찾는 것 조용덕 2008.05.20 121
780 정치와 경제는 하나로 인식이 되어야 하지만. 조용덕 2008.05.24 114
779 억울하냐? 꼽냐? 조용덕 2008.05.24 102
778 군사는 늘 많은 것을 가르쳐 준다. 조용덕 2008.07.02 104
777 과제 1. 현대사회의 개념 조용덕 2006.03.18 133
776 과제 1-1 우리나라의 현시점 조용덕 2006.03.18 116
775 과제 1-3 우리나라의 방향 조용덕 2006.03.18 107
774 반드시 해결되어야할 문제 1. 석유 조용덕 2006.03.18 76
» 지식정보화 사회와 현대사회 조용덕 2006.03.23 106
772 증권에 대한 공부 조용덕 2006.03.23 83
771 새로운 유망 사업을 생각해 보자. 조용덕 2006.03.26 90
770 모의 주식 투자 싸이트 두곳 (우리,대신) 조용덕 2006.03.26 82
769 롯데 사건 무료개방 35명 부상 1 조용덕 2006.03.26 83
768 자신의 전공이란? 조용덕 2006.03.29 61
767 자격증 취득 순서에 대해 리챠드는 말했었지요. 조용덕 2006.04.02 61
766 박광태 광주시장의 연설 조용덕 2006.04.05 62
765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요.. 둘째는 문화라고 말했다 조용덕 2006.04.10 6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0 Next
/ 40

LOGIN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