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0
어제:
0
전체:
0
조회 수 1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RSS [ Rich Site Summary ]

포털사이트나 블로그와 같이 컨텐츠 업데이트가 자주 일어나는 웹사이트에서, 업데이트 된 정보를 자동적으로 쉽게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사이트가 제공하는 RSS 주소를 소정의 RSS Reader 프로그램에 등록하기만 하면, 업데이트된 정보를 찾기 위해 매번 로그인하거나 방문할 필요 없이 자동적으로 이들을 확인하고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다. RSS를 운영자와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서비스 운영자는 신규 또는 추천 정보를 고객에게 보다 손쉽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관심있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조회할 수 있다.

출처 : 네이버 용어사전


 초보자에게 RSS를 쉽게 설명하고자 해도 너무 어려운 용어였습니다.

1. 첫째 사용자의 배경이 다릅니다.

 하루에 컴퓨터에 앉아 있는 시간이 몇시간이냐고 조심히 여쭙겠습니다. 맞습니다. 우리 실생활에 컴퓨터는 24시간 중 업무 시간 포함해서 2~6시간 가량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런 사용자들이 자신의 업무에 맞는 일에만 하는 것이 아닌 개인적은 동호회나 블로그 활동을 하는데 할당하는 시간은 하루 30분 ~ 1시간 가량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이런 일은 언제까지나 취미활동이나 자신의 블로그를 스스로 적는 습관이 잇을 경우 입니다. 그렇습니다. 이런 생활이 아닌 자와 이런 자연스러운 현대 문명인드의 실생활이 잇는자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이미 20세기 초 대한민국은 95% 이상이 문맹률이었습니다. 하지만 21세기 지금은 20% 소수만 컴맹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그들이 만들어 내는 "무언가"에 집중할 차례 입니다. 그들은 끈임없이 정보를 수집하고, 파악하며 나아가는 현실입니다. 취미 생활이 없으면 카페 활동도 못하고, 개인 블로그도 또한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저 그들에게는 컴퓨터는 단순히 전자기기에 불과할 따름일 것입니다. 만약 우리가 이런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무언가 정보를 얻고자 한다면 각 매체에 대한 유기적인 연결단계를 알아야 할 것입니다.


 2. 아직은 수동을 고집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시대에 정말 중요한 것이 바로 아이디와 비밀번호 일 것입니다. 필자는 도용하는 아이디만 8개가 넘습니다. 각각 용도에 맞는 아이디와 상황에 맞는 단계적 레벨에 맞는 비밀번호를 각각 다르게 기입하여 모르게 합니다. 가장 중요한 이메일 보안단계는 최고 단급인 12자리 비밀번호와 1달을 주기로 매번 바뀝니다. 이러한 보안체제를 갖출 수 없었던 이유는 이전 글을 읽어 보면 아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보안은 아주 위험하다는 것을 알려드리고 싶습니다. 그래서 각각 싸이트를 직접 들어가는 것부터 개인 퍼스널 컴퓨터의 관리를 잘 하셔야 할 것입니다. 보안프로그램을 유료로 매주 업데이트 검사를 하시고, 자신의 개인정보 유출을 막기 위한 상당한 교육을 습득 하셔야 합니다. 이런 것을 잘 하신 후 인터넷에 접해야 한다고 봅니다. 그럼 자신의 어떤 경로로 퍼저나가는지 잘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다음, 네이버, 네이트 등 국내에는 3대 포탈이 있습니다. 이곳도 보안 등급을 스스로 갖추는 수 밖에 없습니다. 자 이제 정보를 확인 한 후 정보를 눈으로 쉽게 보기 위한 단계가 바로 RSS 기능 입니다.


  3. 접속하지도 않고, 공개하는 피드를 자동으로 내 페이지(기기)에 하나하나 목록을 작성해 줍니다. 단순이 이거 하나 입니다. 그래서 현대 생활에 있어서 아침에 체크될 상황을 미리 순식간에 100군대 이상되는 웹커뮤니티에서 자동으로 뽑아와서 자신에게 보여지게 하는 것 입니다. 만약 그대가 한군대만 확인할 것이라면 이 기능이 필요없겠지만 많은 것을 관리해야 하는 위치라던가 리더의 자리에 있을 때 수많으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관리하고 확인하는 기능을 필요로 한다면 이 기능은 정말 박수 3번짜리 기능일 것입니다. 한 예로 저는 각 분류 5가지를 나눠서 커뮤니티, 경제, 경영, IT, 디자인, 에너지, 부문으로 해서 각 관련된 블로그 5~6개 까지 등록해서 각 피드 100개씩 확인하고 있습니다. 물론 제가 잘낫다고 이 글을 적는게 절대 아니라 이런 편의가 있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간혹가다 제 스스로가 잘난체를 하는 것이 남에게 보일때 본래의 요지가 아닌데 그렇게 비쳐진데에 많은 미안함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지 정보의 편의를 경우의 수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하는 것 뿐임을 분명히 말 합니다.


 
  4. RSS기능은 단순히 글을 가져온다 라는 기능일 뿐 우리가 생각지도 못하는 편의를 돕는 기능들이 무궁무진 하다는 사실은 참 재미있는 일입니다.  이렇게 원클릭 원 샷 기능이 있다니 라고 생각한다면 "아는자와 모르는자"의 차이가 도를 득도 했을 경우 처럼 맙소사 라는 단어가 절로 나오기 때문입니다. 소셜 네트워크 실체를 안다해도 참 안타까운 것은 혼자서 절대로 이뤄내기가 어렵다는 것입니다. 혼자가 아닌 모두의 협력을 바탕으로 이뤄지는 인터넷의 공유 기능 이는 향후 파격적인 정보의 확대를 가져올 것이지만 만에 하나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아신다면 한 걸음도 못 나갈 것 입니다. 허나 관리라 칭하는 자신의 보안등급을 얼마나 철저히 하느냐에 따라 이 기능들은 당신의 우군이 될 것입니다. 또는 당신의 아킬레스건이 되어 자신을 죽이는 칼이 될 수 있음을 절대로 잊어서는 안됩니다.

 
 
 5. 정보의 원천적인 출처와 확실한 근거를 두눈으로 확인하셔야 합니다. 만약 정보의 전달자가 중간에 내용을 부풀리거나 확대해석하거나 축소한다면 이는 아주 악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그대가 눈이 있다면 조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QNA 게시판

질문/답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홈페이지에 글을 적는 이유. 조량 2009.10.04 1086
» 초보자에게 RSS를 설명하기 Zholiang 2011.03.20 199
360 영원사를 소개합니다. file Zholiang 2011.03.17 184
359 할로윈 데이 조량 2010.10.12 504
358 먼 훗날에 내가 지향하는 캠프 활동 조량 2010.10.07 495
357 전자책 조량 2010.09.03 478
356 2010 Tour the France 자전거 경기 조량 2010.08.20 499
355 FOOD 다큐멘터리를 보고 조량 2010.08.19 543
354 라면과 구공탄 조량 2010.08.17 447
353 조량닷컴 2010년 8월 9일 보고서 file 조량 2010.08.09 488
352 두가지의 선택 조량 2010.08.04 536
351 RSS 주소 모음집 펌 조량 2010.07.26 724
350 피카사 엘범 플래쉬 위젯 달기 원문 소스 1 조량 2010.07.05 517
349 피카사 위젯 1 조량 2010.07.02 553
348 용산 컴퓨터 추천매장 조량 2010.07.01 721
347 RSS 추천 피드 1 조량 2010.06.28 915
346 Remembering the Korean War, 60 years ago 조량 2010.06.28 527
345 CEO가 놓치지 말아야 할 파워블로그 20선 조량 2010.06.28 392
344 정보 광주역 세미나실 대여 안내 조량 2010.06.26 541
343 화생방을 생각하며 file 조량 2010.05.24 375
342 몽골 사막에 영구적인 모래벽돌 로봇 조량 2010.04.25 42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

LOGIN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