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0
어제:
0
전체:
0
2009.05.20 11:33

통섭학이란?

조회 수 14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통섭학이란? 자유를 향한 게시판

2007/11/14 20:47

복사 http://blog.naver.com/youngdoc_cho/10024011572

 통섭의 한자어는 統?으로 '사물에 널리 통하는 원리로 학문의 큰 줄기를 잡는다'는 뜻이다. 최재천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교수가 번역한 단어다. 통섭의 본래 이름은 'Consilience'로 에드워드 윌슨 하버드대 생물학과 교수가 새로이 만든 개념어다. 인문, 사회, 자연과학 지식이 자유롭게 상호 교류해 궁극적으로는 통일성을 이룸을 뜻한다. 국내엔 '통섭(統?)-지식의 대통합'이란 이름으로 번역돼 지난 2005년 출간됐다. 윌슨 교수의 제자인 최 교수가 번역을 주도해 국내에 통섭학을 처음으로 소개했다.

 윌슨은 책을 통해 21세기 학문은 자연과학의 환원주의적 기법을 통해 학문 간의 경계가 사라질 것임을 예견했다. 그는 인간 조건을 이해하는 유일한 길은 모든 방법들을 한데 묶는 것이라 말한다. 그래서 자연과학의 통합이 세계 경제를 한데 묶는 것의 예를 들며 자연과학적 방법론이 주도하는 학문 통합이 이뤄져야 함을 주장한다. 또한 사회과학은 이미 시작된 세분화 과정을 계속하며 궁극적으로는 상당 부분 생물학과 연계되거나 큰 의미의 인문학으로 흡수될 것이라 말한다.

 출간 이후 위의 주장들은 미국 학계에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인문 · 사회과학자들은 윌슨의 통섭이 다분히 환원주의적이라며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최 교수는 서문에서 윌슨이 자연과학적 방법론 없는 21세기 학문의 존재유무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 것이기에 그가 말하는 통섭은 인문학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해석했다. 그리고 그는 통섭은 결국 언어로 하는 것이기에 통섭은 인문학적 과학이라며 윌슨의 주장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이에 대해 최종덕 상명대 교수 등 여러 교수들이 "최재천식 통섭은 윌슨의 통섭을 왜곡하는 것"이라며 비판해 학계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가는 곳마다 논쟁의 장을 여는 통섭, 과연 이름대로 학문의 큰 줄기를 잡을 수 있을 것인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

 

사회과학방법론에 대한 기말시험 문제중에 통섭학이라는 것은? 이 문제가 나왔다. 물론 글자에 맞는 개념만 적었는데 네이버에서 물어보니깐 생소한 단어였다. 윗 글은 복사한 내용으로써 경제학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과학과 철확과의 관계에서 어떻게 풀이할 수 잇는 방법론적 방법에 대한 많은 논의 중 하나의 논의로 표현할 수 있다.

 

 우리가 쉽게 아는 연역적, 귀납적, 반증적, 환원적등 많은 방법론적 방법이 있는데 앞으로의 사회는 많은 문제를 더욱 더 다양하게 얽히고 얽힌 관계가 될 것이다. 하나는 다른 하나를 낳고 또 다른 하나를 연결시키는 끈임없는 연결인 것이다.

 

 어디까지 과학이고, 어디까지가 철학이라는 것인가? 또 무엇이 사실이고 무엇인 진실이고, 어떤것이 진정한 정의라고 표현할 수 있는가? 우리는 스스로 이런 물음에 답해 보면서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 많은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으면 또한 많은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게 된다.

 

 과연 후생적인가에 대한 끈임없는 논의를 통해 선천적으로 무엇도 정해지지 않았다는 명제 아래 과학적인 탐구정신으로 그 체제와 시스템 그리고 방법론적에서 우리는 스스로 물음에 답해야 할 것이다. 당신이 맞을 수 있다. 하지만 내가 맞을 수 있다. 세상에는 많은 이론과 많은 근거를 통해 이론이 있지만 누가 어느 많은 사람이 해석하냐에 따라 이어지고 없어지고 반복된 경쟁과 분쟁을 통해 싹이 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스스로 탐구해야 할 것이며 스스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답은 없다. 그래서 내가 답을 만들면 되는 것이다. 어떻게 나 답게! ㅋ

?

Economic

경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바람같은 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Zholiang 2015.09.30 215
공지 논리 주장에 대한 글 Zholiang 2009.10.04 658
244 바람이 몰아치는 가운데 하나의 촛불처럼 조량 2009.05.20 134
243 커피에 관한 연구 조량 2009.05.20 142
242 한국 자본주의에 대한 연구 -시스템 체제적 시각 조량 2009.05.20 139
» 통섭학이란? 조량 2009.05.20 143
240 경영분석 팀별 리포트 양식 조량 2009.05.20 149
239 재무분석에 필요한 자료 조량 2009.05.20 159
238 [사설] 미래에 한국은... 조량 2009.05.20 135
237 마음의 부자 조량 2009.05.20 142
236 조량 2009.05.20 142
235 자국 문화의 보호와 새문화의 창출의 필요성 조량 2009.05.20 139
234 꿀벌의 우화 - 맨더빌 조량 2009.05.20 150
233 나의 희망 조량 2009.05.20 138
232 경일의 말 - 훌륭한 개 조량 2009.05.20 152
231 경제지표와 경기매크로 file 조량 2009.05.20 96
230 내가 원하는 우리나라 김창수의 나의 소원 조량 2009.05.20 152
229 김구의 정치이념 조량 2009.05.20 156
228 문화 창조 조량 2009.05.20 144
227 청년실업자 300만명을 중동에 팔자 조량 2009.05.20 165
226 더 악화 될 수 있다. 조량 2009.05.20 126
225 구제금융을 비유한 이야기 조량 2009.05.20 152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40 Next
/ 40

LOGIN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