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두
1. 급격한 도시화를 통한 기존의 농촌집약적 산업시스템에서 짧은 시간에 다수의 젊은 노동자의 도시로의 집중
2. 농업을 평생 일궈온 노인들의 고령화에 중간층의 상실을 통한 대물림 문화 단절
3. 최후의 총각! 그들의 씨받기 대작전
4. 외국인 아내의 소통불편과 다정한 가정적 문화 불성립
5. 낙후성 농촌교육에 따른 2세의 심각한 교육환경조건
6. "난도질 또 난도질 그리고 또 난도질"
본문
1. 지속한 경제발전에 따른 농업생산성 강화에 따른 노동력의 도시 이동
2. 다른 경제력 높은 산업의 발전에 따른 노동시장의 집중화
3. 이를 통한 장인정신의 지방 개별적 전통문화 상실
4. 자국의 문화를 지키지 못한체 무분별한 외래문화의 도입의 원인
5. 외래문화를 통한 눈 뜨고 역사 뺏기는 농촌사회
6. 농촌 총각들의 마지막 선택 "외국인 처녀"
7. 늙은 총각들에게 시집오는 후진국의 처녀들
8. 집중취재 "처녀들은 왜 결혼하러 오는가!"
9. 그들이 버린 농촌사회에 서서히 침투해온 그녀들의 삶
10. 씨받기냐 아니면 여자를 사랑해서냐! "베트남 처녀의 비밀"
11. 소통충돌 문화충돌을 통한 더 극심해지는 농촌사회
12. 자녀들의 교육문제 (1) 부모는 자녀를 어떻게 교육시킬것인가?
13. 자녀들의 교육문제 (2) 자녀들은 대체 어디서 교육 받아야 하는가?
14. 자녀들의 교육문제 (3) 도시로 떠나 혼자 키워진 자녀! 불쌍한 그들! 그들은 어디로 가야하나!
15. 자녀들의 교육문제 (4) 버림 받는 자녀들
16. 빼앗긴 처녀에 타국의 부인에 불평등한 자녀들! 총각의 3중 난도질
결론
17. 더 이상 해법은 없는가? 타국의 사례를 통한 사례
18. 우리나라에 맞는 기초적 대응방안
19. 시물레이션을 통한 모범적 사례 적용
20. 단계적 대응조치
21. 예상되는 극복의 농촌의 미래모습
"가만히 놔두면 죽게 되어 있는 어떤 식물이 있었는데, 사람은 그 식물에 물을 주고, 거름을 주었습니다. 하지만 그도 인간인지라
오랜 노력끝에 다시 살면 다행이나 결국 못 일으켜 세웠다는 것을 인지하고, 그 식물을 들어내어 새 식물을 심었는데 사삼이 사람인지라
자연을 거스린 일을 하며 버텨온 생물인 것이다. 어짜피 죽을 식물! 내 손으로 새 식물을 심어 주는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