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0
어제:
0
전체:
0
2010.06.29 12:49

[펌] 펀드 가입요령

조회 수 3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불과 1~2년도 안된 것 같습니다. 요즘엔 3~5년 전후의 목적자금 마련상품으로 많은 분들이 펀드상품을 먼저 떠올리곤 합니다. 오늘은 중장기적 목적자금 마련을 위한 금융상품으로 펀드상품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사실 펀드투자에 있어서는 ‘좋은 펀드의 선택’보다는 ‘위험관리’ 혹은 ‘환매기법’ 들이 더욱 중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위험관리도 선택 이후에 있는 일이니 만큼, 복잡해 보이는 펀드평가에 대해 기본적인 사항이라도 이해한다면 한결 쉽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현재 우리나라에 운용되고 있는 펀드는 6천개가 넘습니다. 경제신문에는 수익률 상위 펀드들이 매일같이 나오고, 또한 그 순위는 몇 일 만에도 바뀌어져 있는데...도데체 어떤 기준으로 펀드를 평가해야 할까요? 오늘은 그 평가요소 중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지표들에 대해서 간단하게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아래 단어들에 대해 모두 알고 계신 분들은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오늘 이 글을 읽고 나시면 적어도 아래 단어에 대해서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   초과수익률

-   표준편차

-   민감도, 베타

-   샤프지수

-   트레이너지수

 

상품을 선택할 때는 “가격대비 성능”, 그렇다면 펀드는 무엇을 볼까요?

 

                

       가격 대비 성능   =>    “위험” 대비 “수익률”

 

 

비슷한 예를 들어보면서 하나씩 이해해 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길동이의 수학점수는 80점입니다.. 길동이는 그 반에서 수학을 잘 하는 학생인가요?

 

펀드평가 요소1 : 초과수익률

 

길동이의 점수가 높은 것인지 알기 위해서는 무엇을 알아야 할까요?

무언가 비교할 대상, 즉, 그 반의 평균 수학점수를 알아야 할 것입니다

평균점수가 90점이라면, 길동이는 평균에도 못 미치는 것이지요

 

펀드평가에서 먼저 살펴볼 수 있는 것이 이러한 평균대비 초과수익률이라는 것입니다.

여기서 평균이란,

 

종합주가지수에 의한 단순 수익률이 될 수도 있고

비슷한 유형의 펀드들의 평균수익률이 될 수도 있습니다

 

대개 이러한 기준이 되는 수익률을 ‘벤치마크수익률(BM수익률)’이라고들 합니다.

평균수익률보다 높은 것은 그래도 그 펀드매니저가 운용을 잘 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이지요.

 

두번째 예를 들어볼까요?

 

길동이와 길순이는 그 동안 8번의 시험을 봤습니다. 그런데 둘의 평균은 모두 80점으로 같습니다.

 

그런데, 길동이는 점수분포가 65점~95점 사이를 심하게 오가는 편이고

길순이는 꾸준히 75점~85점을 유지하는 편입니다.

 

둘의 목표점수가 80점이라 할 때, 비교적 안정적으로 80점을 내줄 것 같은 학생은 누구이겠습니까?

아무래도 길순이의 성적이 다분히 안정적이다..라는 인상을 받을 것입니다.

 

펀드에서도 이와 비슷한 지표를 살펴보게 됩니다.

 

펀드평가 요소2 : 표준편차[σ]

 

투자에 있어 위험은 ‘변동성’이라 표현되기도 합니다. 이는 수익률에 대해서 ‘예측하기 힘들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변동성을 “표준편차”라고 얘기합니다

 

펀드 평가를 보다보면 표준편차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 표준편차가 크면 클수록 다소 공격적이다..라고 보시면 무리가 없습니다. 표준편차가 큰 펀드들은 아무래도 상승기에 크게 오르고 하락기에는 그만큼 많이 빠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변동성이 크면 그만큼 기대수익이 올라가는 경향 또한 있으니, 이 수치만 가지고 펀드를 평가하는 것은 다분히 무리가 있습니다.

 

 

세번째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학교 전체 평균점수가 10점 오르면, 길동이는 15점이 오르고, 길순이는 5점 정도만 오릅니다.거꾸로 학교 전체 평균점수가 10점 떨어지면, 길동이는 15점이 떨어지고, 길순이는 역시 5점 정도만 떨어집니다. 누가 더 안정적이어 보이십니까?

 

이쯤 되면 안정적이어 보이는 것은 명확하나, 스스로는 길동이가 되고 싶은 분들도 생길 것이고, 어떤 사람들은 길순이기를 바랄 것입니다. 이것이 투자성향이지요.

 

 

펀드평가 요소3 : 민감도(베타 : β)

 

방금 예를 들은 것이 시장에 대한 민감도라는 것입니다.

 “주식시장이 오르고 빠지는 것에 대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가?”

 

하는 요소로 이 역시 펀드에 있어서는 일종의 ‘위험’요소로 평가합니다.

아무래도 덜 민감한 펀드가 안정적이어 보이지 않나요?

 

지금까지 살펴본 이러한 수치로 펀드를 평가한다는 것은 사실상 무리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다시 앞으로 돌아가서

물건은 “가격대비 성능”, 펀드는 “위험대비 수익률”이라 했으니..

동일 위험대비 수익률을 한번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동일 위험대비 수익률이라 하면...어떻게 구하면 될까요?

처음에 살펴본 것은 초과수익률이었구요, 여기서는 무위험수익률대비 초과수익률로 A라 하죠. 두번째 표준편차는 일종의 위험, B라 합구요, 세번째 민감도, 베타 또한 일종의 위험, C라 합시다.

 

또 한번, 예를 들어볼까요?

 

2kg에 4만원 하는 것과, 3kg에 6만 6천원하는 것 중 어떤 것이 더 싼 것일까요?

 

이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동일 무게대비 가격을 구하거나, 동일 가격대비 무게를 구하면 될 것입니다.

 

동일 무게대비 가격을 구한다면, 각각 4만원/2kg = 2만원/kg, 6만 6천원/3kg = 2만 2천원/kg.. 따라서 앞의 것이 더 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험대비 수익률’이 의미하는 것은 “동일 위험대비 어떤 것이 더 많은 수익률을 내는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초과수익률을 위험으로 나누면 될 것입니다.

 

위에서 초과수익률[A]를 표준편차 [B]로 나눈 것을 우리는 “샤프지수”라 합니다.

아무래도 샤프지수가 높은 것이 동일한 위험대비 초과수익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할 것입니다.

 

또한, 초과수익률[A]를 민감도 베타[C]로 나눈 것을 “트레이너지수”라 합니다.

 

역시 트레이너 지수가 높은 것이 동일한 민감도 대비 초과수익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오늘 우리는 펀드의 평가요소 중 초과수익률,표준편차, 민감도, 베타, 샤프지수, 트레이너지수를 살펴보았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펀드를 선택할 경우에는 이러한 수치만을 보고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펀드를 선택하실 때 “같은 값이면” 이러한 평가수치도 좋은 것이 좋을 것이다...라는 측면으로 접근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이제 실제 펀드 2개 정도를 뽑아서 실제로 그 수치들을 한번씩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

 

쉽게 말하자면 ...

 

ⓐ표준편차는                수익률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다.

                                   수익률이 큰폭으로 오르는가 낮아지는가를 가늠한다.

                                   낮을수록 안정적인 수익률을 낸다

 

ⓑ베타(B)계수는            주가지수 상승률과 현 펀드 수익률의 상관관계를 나타네는 지표다

                                    1에 가깝다면 지수상승률과 비슷하다

                                    B>1이면 지수수익률을 상회한다.

                                    이 계수가 높은 펀드는 증시가 상승하면 초과수익 달성하는 공격펀드

                                    이 계수가 낮은 펀드는 증시가 하락하면 손실을 최소로 하는 수비펀드

                                    자신의 투자 성향에 맞게 움직여 볼 수 있겠죠...

 

ⓒ샤프지수                    명목수익률에서 무위험수익률(안정 채권등)을 뺀 후 표준편차로 나눈 값

                                    위험1단위당 초과수익 지표입니다

                                    샤프지수가 클수록 위험대비 수익률이 좋다라는 얘기죠!!

 

ⓓ트레이너지수              명목수익률에서 무위험수익률을 뺀후 민감도(B계수)를 나눈 값입니다

                                     분산투자가 얼마나 잘 이루어 졌는가를 가름하는 척도입니다

                                     펀드비교분석시 이 지수가 클수록 좋은 펀드로 평가 받습니다.

 

이 밖의

젠센알파지수:   펀드의 실제 수익률이 시장균형을 가정한 경우의 수익률 보다 얼마나 높은지를

                               측정하는 지표

 

정보비율 지수:          펀드 수익률을 위험으로 나누어 만들어 내는 척도로 펀드의 위험 조정후

                                수익률이 분산가능한 위험 노출로 달성된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상대 위험 조정후 수익률 : 위험과 수익을 동시에 평가하기 위해 S&P에서 평가하고 있는 지표입니다

                샤프지수의 변형된 형식이지만 높을수록 좋은 펀드입니다

 

대개 구체적인 고급분석이 아니면 표준편차,베타계수.샤프지수.트레이너 지수만으로도 충분히

펀드 비교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과거의 수익이 미래를 보장 하지 아니하는것,,,,^^ 알 수 없다라는 점이죠^^

?

Economic

경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바람같은 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Zholiang 2015.09.30 215
공지 논리 주장에 대한 글 Zholiang 2009.10.04 656
684 귀농이라 하옵니다. 조량 2010.10.26 308
683 기아 그리고 전쟁 file 조량 2010.10.04 348
682 물을 사서 먹어야 한다면 조량 2010.09.01 353
681 다롄항 기름 유출 조량 2010.08.20 326
680 러시아 대형 화재 조량 2010.08.20 314
679 중국 티벳 간수지역 산사태 조량 2010.08.20 326
678 日, 한국에 참회하고 아시아로 돌아오라 조량 2010.08.18 289
677 쓰레기 조량 2010.08.13 250
676 기후 이상징후에 대한 혹서기 이후 혹한기 대비 조량 2010.07.20 241
675 필요할 경우 낭비를 하지 않지만, 시장가격 보다 싸면 낭비를 하게 된다. 조량 2010.07.11 289
» [펌] 펀드 가입요령 조량 2010.06.29 322
673 TV의 진화 Google TV file 조량 2010.06.29 222
672 국경이 있습니다. 조량 2010.06.21 194
671 공짜루 주세요! 조량 2010.06.10 264
670 아이폰4 가 가져올 파급적 효과 조량 2010.06.09 226
669 그리스에 이어 헝가리 이젠 연이은 파탄 조량 2010.06.07 254
668 6월 2일 선거... 꿩보다는 닭 선택 조량 2010.06.03 243
667 미군의 카드 - 잘못된 추측 전혀 사실에 근거하지 않음 조량 2010.05.24 154
666 21일 국가안보회의 실시 조량 2010.05.20 253
665 북한의 한 조량 2010.05.18 20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0 Next
/ 40

LOGIN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