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0
어제:
0
전체:
0
2006.10.15 20:04

제대혈

조회 수 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제대혈이란?
제대혈이란 신생아 분만 후에 버려지고 있는 태반과 탯줄에서 채취한 혈액을 말합니다. 이 제대혈 속에는 골수와 마찬가지로 혈액을 새롭게 만들어내는 조혈모세포가 풍부하게 있어 이를 채취하여 냉동보관해 두었다가 필요한 시기에 녹여서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대혈에 들어있는 조혈모세포는 유전인자 6개가 다 일치해야 이식이 가능한 골수 조혈모세포에 비해 3개의 유전인자만 맞으면 실제 가능하므로 가족에게 폭넓게 쓰일 수 있으며, 이식수술 후 면역학적인 부작용이 훨씬 적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이렇듯 탯줄혈액 조혈모세포는 이식에서도 합병증이 적고, 그 채취방법이나 조혈기능, 증폭능력이 뛰어나 골수를 대체할 자원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백혈병과 각종 암의 치료뿐만 아니라 유전자요법등 그 유용성이 다양합니다.

제대혈은 가족내에 백혈병, 림프종, 각종 암, 선천성 유전적 특수상황, 또는 혈액이나 면역체계 결함 등의 병력이 있는 경우 예기치 못한 미래의 불행을 막는 최선의 대비책입니다.

제대혈 보관으로 나와 내가족은 물론 더 나아가 공여를 통해 타인의 생명까지 구할 수 있습니다.

제대혈은행
태어나는 아기의 탯줄에서 채취한 혈액(제대혈)을 냉동보관해 두었다가 필요할 Ep 제공하는 곳입니다. 제대혈은행은 가족제대혈은행과 제대혈공여은행 두가지 형태로 운영됩니다.

●가족제대혈은행(Family Cord Blood Bank)
가족의 건강과 미래를 위하여 산모가 비용을 부담하여 보관하는 곳으로, 탯줄을 보관한 아기 본인이나 가족이 백혈병이나 각종 암 등 조혈모세포 이식수술이 필요한 질병에 걸렸을 때 보관해둔 조혈모세포를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강보험센터의 역할을 합니다.

보관해 둔 아기의 제대혈 조혈모세포를 본인이 이식 받을 경우 거부반응이 전혀 없으며, 본인뿐 아니라 직계가족(부모, 형제)의 치료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집안에 암환자가 많은 경우 자녀의 제대혈을 냉동 보관해두면 장차 걸릴지 모를 암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결국 제대혈의 보관은 가족 전체의 생물학적 암보험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제대혈공여은행(Public Cord Blood Bank)

임산부로부터 아기의 탯줄혈액 조혈모세포를 기증 받아 저장했다가 조혈모세포 이식이 필요한 환자에게 조직적합성항원이 일치되는 조혈모세포를 무상으로 제공하는 곳입니다.

따라서 공여은행은 장기간의 보관보다는 많은 제대혈을 보관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운영됩니다. 많은 제대혈을 보관하고 있어야 조직적합성항원이 일치할 확률이 높아지니까요.
?

Economic

경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바람같은 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Zholiang 2015.09.30 215
공지 논리 주장에 대한 글 Zholiang 2009.10.04 658
304 제약 CEO, "글로벌사만 살아남는다" 조용덕 2006.10.29 18
303 6조 국내 제약시장 외국업체 '손안에' 조용덕 2006.10.29 11
302 sd wew 2006.10.28 10
301 3 조용덕 2006.10.27 16
300 2 조용덕 2006.10.27 24
299 최근 조용덕 2006.10.27 15
298 바이오 산업 file 조용덕 2006.10.15 24
297 인공간 조용덕 2006.10.15 32
» 제대혈 조용덕 2006.10.15 18
295 줄기세포기술 조용덕 2006.10.15 19
294 건강기능성 효과가 강화된 돼지고기 개발 성공 조용덕 2006.10.15 24
293 바이오 산업에 대한 신약 개발 조용덕 2006.10.15 13
292 [re] 바이오 산업에 대한 신약 개발 조용덕 2006.10.15 16
291 포트폴리오 기초자료들 조용덕 2006.10.12 22
290 아주대 조용덕 2006.10.10 18
289 편입 3 조용덕 2006.10.10 11
288 광웅이형 과제 3 조용덕 2006.10.09 28
287 링크 조용덕 2006.09.07 22
286 우리가 살고 잇는 시대 조용덕 2006.07.12 21
285 우리의 경제는 어떻게 흘러 갈것인가?? 도성 2006.06.06 11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40 Next
/ 40

LOGIN

SEARCH

MENU NAVIGATION